본 저널에 도움을 주신 Urology Department of Ho Chi Minh Medic Center의 Dr. Nguyen Minh Thien 박사님께 감사 드립니다.
전립선암 검진을 받으러 내원한 71세 남성은 PSA수치가 100ng/ml 이상이었으며 DRE는 오른쪽 엽에 경화 결절이 있는 전립선 비대증상을 보였습니다.
\r\n
전립선암 검진을 받으러 내원한 71세 남성은 PSA수치가 100ng/ml 이상이었으며 DRE는 오른쪽 엽에 경화 결절이 있는 전립선 비대증상을 보였습니다.
해부학적 위치로 인하여 가장 높은 고주파 Biplane endocavitary transducer ( 마인드레이 Resona i9, ELC13-4)를 사용한 전립선 검사가 권장됩니다.
\r\n
\r\n전립선 검사는 마인드레이 전용 양면 볼록-선형 초음파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변환기에는 볼록 배열과 선형 배열 2개의 초음파 프로브가 있는데, 전립선의 횡단상은 볼록배열로, 전립선의 세로배열은 선형배열로 결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스트레인 엘라스토그래피(NTE: Natural Touch Elastography)와 2D 횡파 탄성 초음파(STE: Sound Touch Elastography)를 포함한 엘라스토그래피 기법의 볼록 배열과 선형배열을 모두 지원하였습니다.
\r\n
\r\n
해부학적 위치로 인하여 가장 높은 고주파 Biplane endocavitary transducer ( 마인드레이 Resona i9, ELC13-4)를 사용한 전립선 검사가 권장됩니다.
전립선 검사는 마인드레이 전용 양면 볼록-선형 초음파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변환기에는 볼록 배열과 선형 배열 2개의 초음파 프로브가 있는데, 전립선의 횡단상은 볼록배열로, 전립선의 세로배열은 선형배열로 결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스트레인 엘라스토그래피(NTE: Natural Touch Elastography)와 2D 횡파 탄성 초음파(STE: Sound Touch Elastography)를 포함한 엘라스토그래피 기법의 볼록 배열과 선형배열을 모두 지원하였습니다.
우엽의 탄성 초음파(SWE)로 평균값 34kPa, 최대값 115kPa의 강성 측정(형상6). 이는 좌엽의 SWE와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더 높음.(평균 = 19 kPa, 최대 = 36 kPa). (형상7) 전체적으로 좌엽은 전립부위(PZ)에서 규칙적인 연한 탄성도를 보였다. 전이부위(TZ)는 환자의 고령화로 인해 전립부위(PZ)보다 더 단단함. 전이부위(TZ)와 전립부위(PZ)의 경계가 분명함.
\r\n
1,2,3: PROSTATIC ADENOCARCINOMA, Gleason score 7 (4+3), ISUP Gleason group 3 (C60): 확연히 미흡하게 형성/융착/체형질의 분비샘과 구성요소가 부족한 분비샘.
\r\n
\r\n4,5,6: 정상 전립선 조직
\r\n
6 부위 코어 생검을 실시했으며, 1~3번 샘플은 우엽에서 4~6번 샘플은 좌엽에서 채취하였습니다.
1,2,3: PROSTATIC ADENOCARCINOMA, Gleason score 7 (4+3), ISUP Gleason group 3 (C60): 확연히 미흡하게 형성/융착/체형질의 분비샘과 구성요소가 부족한 분비샘.
4,5,6: 정상 전립선 조직
비정상적으로 높은 PSA 수치(> 100ng/ml)과 비정상적인 DRE 결과(우엽의 전립선 확대 및 결절 경직)를 가진 고령 환자에 대한 전립선암 검사.
\r\n
\r\n
2D color 초음파는 RL에서 고혈관계 및 캡슐 불규칙성이 의심되는 저에코 영역을 보여 주었지만, 좌엽 소견에서는 정상적이었으나 약간 고르지 않은 캡슐도 발견되어 우엽과 좌엽 양쪽 전립선 전체에 전립선암이 발생했는지, 우엽에만 발생했는지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려웠습니다.
\r\n\r\n
\r\nNTE와 STE 결과를 조합하여, 환자가 우엽에 국소한 PCa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진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전립선의 좌엽은 정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r\n
\r\n
\r\n"}}" id="text-adbbe83ac1" class="8f00b2 cmp-text">
비정상적으로 높은 PSA 수치(> 100ng/ml)과 비정상적인 DRE 결과(우엽의 전립선 확대 및 결절 경직)를 가진 고령 환자에 대한 전립선암 검사.
2D color 초음파는 RL에서 고혈관계 및 캡슐 불규칙성이 의심되는 저에코 영역을 보여 주었지만, 좌엽 소견에서는 정상적이었으나 약간 고르지 않은 캡슐도 발견되어 우엽과 좌엽 양쪽 전립선 전체에 전립선암이 발생했는지, 우엽에만 발생했는지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려웠습니다.
NTE와 STE 결과를 조합하여, 환자가 우엽에 국소한 PCa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진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전립선의 좌엽은 정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