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Segal 교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Tatarstan 공화국 보건부의 공화당 임상 종양 진료소 초음파 진료과 Dr. Hasanov Marat Zufarovich 박사에게 감사드립니다.
전립선, 결절성병변(nodular pathology), 경직장초음파검사(TRUS), 탄성초음파 모드(Strain Elastography mode), 조영증강초음파(CEUS)
\r\n
\r\n"}}" id="text-e9bec5c376" class="8f00b2 cmp-text">
전립선, 결절성병변(nodular pathology), 경직장초음파검사(TRUS), 탄성초음파 모드(Strain Elastography mode), 조영증강초음파(CEUS)
66세 남성은 요추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초음파 진료과에 내원했습니다(VASH 5 척도에 따름). 환자의 PSA 수치는 6.9 ng/ml이었고 도수검사상 전립선은 탄력이 있었고 결절성 병변은 없었습니다.
\r\n
66세 남성은 요추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초음파 진료과에 내원했습니다(VASH 5 척도에 따름). 환자의 PSA 수치는 6.9 ng/ml이었고 도수검사상 전립선은 탄력이 있었고 결절성 병변은 없었습니다.
마인드레이 Resona 7 초음파 장비로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 검사(TRUS)를 수행했습니다. 전립선의 부피는 36ml로 측정되었으며, 소엽간 고랑(interlobular furrow) 부근 우엽(right lobe) 주변부위에 최대 직경 15mm의 불분명하고 불균일한 윤곽의 저에코 병변이 관찰되었습니다(Fig. 1).
\r\n
마인드레이 Resona 7 초음파 장비로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 검사(TRUS)를 수행했습니다. 전립선의 부피는 36ml로 측정되었으며, 소엽간 고랑(interlobular furrow) 부근 우엽(right lobe) 주변부위에 최대 직경 15mm의 불분명하고 불균일한 윤곽의 저에코 병변이 관찰되었습니다(Fig. 1).
파워 도플러 모드, B-모드 TRUS 영상에서 저에코 병변 내에서 비대칭적인 혈관(vascularity)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형상 2).
Resona7의 Natural Touch Elastography를 사용하여 전립선의 강성을 평가했습니다. 주변 부위의 저에코 병변은 0.56-0.87 사이의 변형률로 주변 조직보다 훨씬 더 뻣뻣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r\n
Resona7의 Natural Touch Elastography를 사용하여 전립선의 강성을 평가했습니다. 주변 부위의 저에코 병변은 0.56-0.87 사이의 변형률로 주변 조직보다 훨씬 더 뻣뻣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조영증강 초음파(CEUS)의 경우, 증강모드에서 2.4ml의 Sonovue(Bracco Swiss, SA, Switzerland)를 3분 동안 주입한 직후 관심 영역이 시각화되었습니다. 주변부위 저에코 병변은 조영제의 빠른 유입, 유출과 함께 상대적으로 변화가 없는 실질(parenchyma)의 고강도 조영증강을 보였습니다(형상. 4).
\r\n
조영증강 초음파(CEUS)의 경우, 증강모드에서 2.4ml의 Sonovue(Bracco Swiss, SA, Switzerland)를 3분 동안 주입한 직후 관심 영역이 시각화되었습니다. 주변부위 저에코 병변은 조영제의 빠른 유입, 유출과 함께 상대적으로 변화가 없는 실질(parenchyma)의 고강도 조영증강을 보였습니다(형상. 4).
국소 병변의 시간-강도 곡선은 급격한 상승과 그에 따른 급격한 하락을 특징으로 합니다. 주요 정량적 지표는 TTP 16.5초, PI 35.7dB, DT/2 78.6초, AUC 4634.2dB/초 였습니다. 손상되지 않은 주변 구역의 경우 시간-강도 곡선은 부드러운 상승 및 후속 안정기 단계를 특징으로 했으며 TTP는 63.9초, PI는 27.5dB, AUC는 4429.2dB/초 였습니다. DT/2 매개변수는 결정되지 않았습니다(형상 5).
\r\n
국소 병변의 시간-강도 곡선은 급격한 상승과 그에 따른 급격한 하락을 특징으로 합니다. 주요 정량적 지표는 TTP 16.5초, PI 35.7dB, DT/2 78.6초, AUC 4634.2dB/초 였습니다. 손상되지 않은 주변 구역의 경우 시간-강도 곡선은 부드러운 상승 및 후속 안정기 단계를 특징으로 했으며 TTP는 63.9초, PI는 27.5dB, AUC는 4429.2dB/초 였습니다. DT/2 매개변수는 결정되지 않았습니다(형상 5).
전립선의 체계적인 경직장(transrectal) 생검은 초음파 유도하에 12개 지점의 표적 샘플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n
\r\n
조직학적 검사: 관심 영역의 조직 한줄에서 선암종(acinar adenocarcinoma )의 성장은 Gleason(3 + 4)에 따라 7점입니다. 우측 주변 영역의 국소 형성의 조직학적 결과, 선암종은 기저 세포층이 없는 가벼운 종양 선암으로 나타납니다. (형상 6).
\r\n
전립선의 체계적인 경직장(transrectal) 생검은 초음파 유도하에 12개 지점의 표적 샘플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조직학적 검사: 관심 영역의 조직 한줄에서 선암종(acinar adenocarcinoma )의 성장은 Gleason(3 + 4)에 따라 7점입니다. 우측 주변 영역의 국소 형성의 조직학적 결과, 선암종은 기저 세포층이 없는 가벼운 종양 선암으로 나타납니다. (형상 6).
전립선의 악성 종양(Malignant neoplasm), T2сsN0M0.
\r\n
전립선의 악성 종양(Malignant neoplasm), T2сsN0M0.
전립선암의 전형적인 초음파 징후는 모호한 윤곽을 가진 주변 영역에서 저에코, 과혈관 (hypervascular )형성으로 간주됩니다[1]. 이러한 징후는 다양한 양성 변화로 유사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이성이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2]. 이와 관련하여 추가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변수 초음파(multiparametric ultrasound )가 필요합니다. 탄성초음파(Strain elastography )는 주어진 관심 영역에서 조직 강성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악성 병변은 정상 조직보다 더 뻣뻣한 경향이 있지만, 변형 비율이 국소 병변과 주변 온전한 조직 사이의 강성의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이 특별한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CEUS는 조직 혈관과 관련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EUS 검사는 B 모드 영상에서 보이는 국소 병변 내 병리학적 혈관신생을 정성적 징후뿐만 아니라 정량적 매개변수에 의해 확인하였습니다.
\r\n
전립선암의 전형적인 초음파 징후는 모호한 윤곽을 가진 주변 영역에서 저에코, 과혈관 (hypervascular )형성으로 간주됩니다[1]. 이러한 징후는 다양한 양성 변화로 유사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이성이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2]. 이와 관련하여 추가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변수 초음파(multiparametric ultrasound )가 필요합니다. 탄성초음파(Strain elastography )는 주어진 관심 영역에서 조직 강성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악성 병변은 정상 조직보다 더 뻣뻣한 경향이 있지만, 변형 비율이 국소 병변과 주변 온전한 조직 사이의 강성의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이 특별한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CEUS는 조직 혈관과 관련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EUS 검사는 B 모드 영상에서 보이는 국소 병변 내 병리학적 혈관신생을 정성적 징후뿐만 아니라 정량적 매개변수에 의해 확인하였습니다.
[1] Ellis, W. J., Chetner, M. P., Preston, S. D. & Brawer, M. K., 1994. Diagnosis of Prostatic Carcinoma: The Yield of Serum Prostate Specific Antigen, Digital Rectal Examination and Transrectal Ultrasonography. The Journal of Urology, 152(5, part 1), pp. 1520-1525.
\r\n[2] Postera, A., Mischi, M., Rosette, J. d. l. & Wijkstra, H., 2015. Multiparametric ultrasound in the detection of prostate cancer: a systematic review. World Journal of Urology, 33(11), pp. 1651-1659.
참조:
[1] Ellis, W. J., Chetner, M. P., Preston, S. D. & Brawer, M. K., 1994. Diagnosis of Prostatic Carcinoma: The Yield of Serum Prostate Specific Antigen, Digital Rectal Examination and Transrectal Ultrasonography. The Journal of Urology, 152(5, part 1), pp. 1520-1525.
[2] Postera, A., Mischi, M., Rosette, J. d. l. & Wijkstra, H., 2015. Multiparametric ultrasound in the detection of prostate cancer: a systematic review. World Journal of Urology, 33(11), pp. 1651-1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