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i Yanhui, Sheng Xuan & Yin Hong 2022-11-15
Special thanks to: Ru Yanhui, Sheng Xuan, Yin Hong, Department of Ultrasound of Shandong Maternal and Child Health Hospital, Medical Imaging Center of Shandong Maternal and Child Health Hospital.
\r\n
주요 스캔 방법으로는 parasagittal view에서의 경피강/강내 2D 스캐닝, 3D/4D 볼륨 영상, Ipage+라고 하는 단층 촬영 초음파가 포함됩니다.
\r\n
항문거근(Levator Ani) 근육군은 골반기저근(Pelvic Floor)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분만시 거근 손상(Levator Trauma)의 발병률은 약 15~35%인것으로 나타나며, 이를 위한 진단으로 MRI 및 경피막 초음파를 사용합니다. 거근 손상의 주요 검진 방법으로는 transvaginal palp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골반기저근 초음파를 들 수 있습니다. MRI는 비용적인 측면에서나 또는 동적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고 정적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제한적이나 골반기저근 초음파는 검사 시간이 짧고, 비용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이며, 실시간 다중 디스플레이를 통한 직관적인 관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거근 손상 진단 방법 중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스캔 방법으로는 parasagittal view에서의 경피강/강내 2D 스캐닝, 3D/4D 볼륨 영상, Ipage+라고 하는 단층 촬영 초음파가 포함됩니다.
임신 39주차의 30세여성(G1P1)이며 분만시 Negative-pressure vacuum extraction과 left perineotomy가 적용되었고, 신생아의 몸무게는 3.387kg이었습니다. Pelvic floor 초음파는 분만 42일 후 실행되었습니다.
\r\n
임신 39주차의 30세여성(G1P1)이며 분만시 Negative-pressure vacuum extraction과 left perineotomy가 적용되었고, 신생아의 몸무게는 3.387kg이었습니다. Pelvic floor 초음파는 분만 42일 후 실행되었습니다.
1. Probe sleeve 내부, 외부 가스에 의한 거짓 양성:
\r\n"}}" id="text-1e69a88170" class="8f00b2 cmp-text">1. Probe sleeve 내부, 외부 가스에 의한 거짓 양성:
항문거근의 발달이 대부분 좌우 대칭인것에 반하여 얇고 비정상적으로 나타남. 볼륨 이미징은 감별진단에 도움.
\r\n
\r\n
3. 항문거근은 회음부 피하혈종에 의해 눌리게 됨.
\r\n
2. 항문거근의 선천적 협착증:
항문거근의 발달이 대부분 좌우 대칭인것에 반하여 얇고 비정상적으로 나타남. 볼륨 이미징은 감별진단에 도움.
3. 항문거근은 회음부 피하혈종에 의해 눌리게 됨.
\r\n
\r\n
환자는 최대한 휴식을 취하며 산후 3개월이 지나면 재활운동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현재 주요 치료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r\n\r\n
\r\n"}}" id="text-29b90ff936" class="8f00b2 cmp-text">
환자는 최대한 휴식을 취하며 산후 3개월이 지나면 재활운동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현재 주요 치료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DeLancey J, Kearney R, Chou Q, Speights S, Binno S. The appearance of levator ani muscle abnormalities in magnetic resonance images after vaginal delivery. Obstet Gynecol 2003;101(1):46–53.
\r\n [2] Dietz HP, Lanzarone V. Levator trauma after vaginal delivery. Obstet Gynecol 2005;106(4):707–12.
\r\n [3] Hans Peter Dietz, Pelvic floor ultrasound: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0(4); 321-334.
참조:
[1] DeLancey J, Kearney R, Chou Q, Speights S, Binno S. The appearance of levator ani muscle abnormalities in magnetic resonance images after vaginal delivery. Obstet Gynecol 2003;101(1):46–53.
[2] Dietz HP, Lanzarone V. Levator trauma after vaginal delivery. Obstet Gynecol 2005;106(4):707–12.
[3] Hans Peter Dietz, Pelvic floor ultrasound: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0(4); 321-334.